728x90
- 해쉬 구조
- Hash Table: 키(Key)에 데이터(Value)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
- 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으므로,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
- 파이썬 딕셔너리(Dictionary) 타입이 해쉬 테이블의 예: Key를 가지고 바로 데이터(Value)를 꺼냄
- 보통 배열로 미리 Hash Table 사이즈만큼 생성 후에 사용 (공간과 탐색 시간을 맞바꾸는 기법)
- 단, 파이썬에서는 해쉬를 별도 구현할 이유가 없음 - 딕셔너리 타입을 사용하면 됨
- 알아둘 용어
- 해쉬(Hash):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
- 해쉬 테이블(Hash Table):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
- 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: Key에 대해 산술 연산을 이용해 데이터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
- 해쉬 값(Hash Value) 또는 해쉬 주소(Hash Address): Key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서, 해쉬 값을 알아내고, 이를 기반으로 해쉬 테이블에서 해당 Key에 대한 데이터 위치를 일관성있게 찾을 수 있음
- 슬롯(Slot)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- 저장할 데이터에 대해 Key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 함수도 존재할 수 있음
- 자료 구조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
- 장점
-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가 빠르다. (검색 속도가 빠르다.)
- 해쉬는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(중복) 확인이 쉬움
- 단점
-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더 많이 필요하다.
-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함
- 주요 용도
-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
- 저장, 삭제, 읽기가 빈번한 경우
- 캐쉬 구현시 (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)
4.hash_table 구현
연습1: 리스트 변수를 활용해서 해쉬 테이블 구현해보기
- 해쉬 함수: key % 8
-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
hash_table = [0 for i in range(8)]
def hash_func(data):
return hash(data) % 8
def set_data(data,value):
key = hash_func(data)
hash_table[key] = value
def get_data(data):
key = hash_func(data)
return hash_table[key]
- 충돌(Collision) 해결 알고리즘 (좋은 해쉬 함수 사용하기)
해쉬 테이블의 가장 큰 문제는 충돌(Collision)의 경우입니다.
이 문제를 충돌(Collision) 또는 해쉬 충돌(Hash Collision)이라고 부릅니다.
5.1. Chaining 기법
- 개방 해슁 또는 Open Hashing 기법 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외의 공간을 활용하는 기법
- 충돌이 일어나면, 링크드 리스트라는 자료 구조를 사용해서, 링크드 리스트로 데이터를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서 저장하는 기법
hash_table = [0 for i in range(8)]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et_data(data,value):
hash_idx = hash(data)
hash_key = hash_func(hash_idx)
if hash_table[hash_key] != 0:
for i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key])):
if hash_table[hash_key][i][0] == hash_idx:
hash_table[hash_key][i][1] = value
return True
hash_table[hash_key].append([hash_idx,value])
return True
else:
hash_table[hash_key] = [[hash_idx,value]]
return True
def get_data(data):
hash_idx = hash(data)
hash_key = hash_func(hash_idx)
if hash_table[hash_key]:
for value in hash_table[hash_key]:
if value[0] == hash_idx:
print(value[1])
return value[1]
print("None")
return None
else:
print("None")
return None
5.2. Linear Probing 기법
폐쇄 해슁 또는 Close Hashing 기법 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
충돌이 일어나면,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r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공간에 저장하는 기법
-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
hash_table = [0 for i in range(8)]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et_data(data,value):
hash_idx = hash(data)
hash_key = hash_func(hash_idx)
if hash_table[hash_key]:
for i in range(hash_key,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] == 0:
hash_table[i] = [hash_idx,value]
return True
elif hash_table[i][0] == hash_key:
hash_table[i][1] = value
return True
else:
hash_table[hash_key] = [hash_idx,value]
return True
def get_data(data):
hash_idx = hash(data)
hash_key = hash_func(hash_idx)
if hash_table[hash_key]:
for idx in range(hash_key,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dx] == 0:
return None
elif hash_table[idx][0] == hash_idx:
return hash_table[idx][1]
return None
ref) fast_campas 강의노트
'hacking or software engineering skills > data structure &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Linked List,Double Linked List 구현 [python] (0) | 2020.02.25 |
---|